삼성여객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여객은 1966년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중앙여객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한때 좌석버스 및 도시형 버스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간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한다. 2009년 염곡동으로 본사를 이전했으며, 2013년 염곡동 차고지가 서울특별시청에 매입되어 공영 차고지로 전환되었다. 현재 KGM커머셜, 현대자동차, 하이거 차량을 운용하며, 400번, 405번, 421번, N64번, 서울07출근번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충남고속
충남고속은 1966년 충남교통운수로 설립되어 1998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고속버스 업체로 전환하여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 인천, 부산 등지로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업체이다. - 1966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삼화고속
삼화고속은 1966년 설립되어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으로,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을 기점으로 27개 노선을 운행하며 94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서울 서초구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서울 서초구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한국도심공항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설립되어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운영했으며, 2023년 시내 체크인 서비스를 폐업하고 현재는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삼성여객 (서울)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삼성여객 자동차 주식회사 |
원어 | Samsung Transportation Co., Ltd.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66년 5월 29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 254 (내곡동)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경영진 | |
대표이사 | 최기섭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자본금 | 999,160,000원 |
매출액 | 19,258,432,214원 |
영업이익 | -295,078,914원 |
순이익 | -401,297,851원 |
자산총액 | 26,552,077,885원 |
주주 구성 | |
주요 주주 | 최기섭 : 26.47% |
직원 | |
종업원 수 | 198명 |
기타 | |
모기업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역사 및 현황
1966년 4월 30일 중앙여객(훗날 남산운수, 1992년 폐업)에서 분리 독립하여 설립된 삼성여객은[1] 한때 좌석버스 46번, 도시형버스 78-3번 등을 운행하였으나 모두 정리하고,[2] 보광동을 중심으로 지선버스 노선만 운영하였다. 2009년 6월 20일 본사를 염곡동으로 이전하면서 간선버스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2013년 3월 19일 효창동 영업소를 매각하였고, 같은 해 9월 염곡동 차고지가 서울특별시에 매입되어 공영 차고지로 전환되었다. 이후 대흥교통과 선흥상운이 염곡공영차고지에 입주하였다.
차량은 현대자동차와 자일대우버스를 모두 운용하다가, 2019년 에디슨모터스 화이버드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66년 ~ 2009년)
1966년 4월 30일에 중앙여객(훗날 남산운수, 1992년 폐업)에서 분리 독립해 설립되었으며,[1] 한때 고급좌석버스 46번 (가락시장역 - 서울역), 도시형버스 78-3번 (개포동 4단지 - 서울역) 등의 노선을 운행하였으나, 모두 정리하고[2] 염곡동 차고지로 완전히 이전하기 전까지 보광동을 중심으로 4개의 지선버스 노선만을 운행해 왔다.2. 2. 염곡동 이전 및 간선버스 운행 (2009년 ~ 현재)
2009년 6월 20일 용산구 보광동에서 서초구 염곡동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78-3번 폐선 이후 5년 만에 실질적으로[3] 염곡동 차고지에서 통합 운행하게 되었다. 염곡동으로 이전한 이후 삼성여객은 간선버스 노선 3개(400번, 405번, 421번)와 N64번 심야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보광동으로 다니던 기존 노선들을 통합하여 조정하였기 때문에 대체로 노선 선형이 복잡한 편이다.효창동 영업소는 차고지가 아닌 배차관리실 개념으로 존재했으나, 2013년 3월 19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조정으로 매각되었다.
원래 염곡동 차고지는 삼성여객 소유였으나, 2013년 9월 서울특별시청에서 800억원~900억원에 매입하여 공영 차고지로 전환했다. 이후 염곡공영차고지에는 마장동 차고지의 임차 계약 갱신에 실패한 대흥교통이 2014년 3월 11일 이전했고, 서초구 마을버스 업체인 선흥상운도 입주하여 마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2. 3. 차량 변화
현대자동차와 자일대우버스를 모두 운용해 왔지만 한동안 현대자동차 원메이크로 전향했다가, 2019년에 에디슨모터스 화이버드 천연가스버스를 처음으로 도입했다.[1]3. 운행 노선
삼성여객은 간선버스 4개 노선, 심야버스 1개 노선, 맞춤버스 1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4]
2009년 6월 20일, 삼성여객 차고지가 보광동에서 염곡동으로 이전하면서 노선 통합 및 변경이 이루어졌다. 0013번과 0211번은 421번으로, 0014번과 0015번은 405번으로 통합되었고, 0018번의 잔여 구간(효창운동장 - 한남역)은 한시적으로 운행되었다.[6]
2013년 3월 19일, 405번과 0018번이 통합되어 405A, 405B번으로 재편되었다. 이후 2013년 9월 26일에 405A번은 405번, 405B번은 400번으로 변경되었으며, 2014년 4월 18일에는 400번과 405번의 순환 운행이 폐지되었다.
3. 1. 현행 노선
wikitext2023년 5월 25일 기준이다.[4]
운행 노선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400번 | 염곡동차고지 | ↔ | 시청 | 6~13 | 23 | 구 405B번, 2014년 4월 18일 노선 변경 |
405번 | 염곡동차고지 | ↔ | 종로1가 | 7~15 | 17 | 구 405A번, 2014년 4월 18일 노선 변경 |
421번 | 염곡동차고지 | ↔ | 옥수동 | 7~14 | 39 | 0013번, 0211번 통합 노선[5] |
N64번 | 염곡동차고지 | ↔ | 강서공영차고지 | 25~30 | 4 | 2022년 4월 19일 신설, 공항버스와 공동 배차 |
서울07출근번 | 양재역 | → | 판교제2테크노밸리 | 1일 4회 | 2 | 2024년 5월 7일 신설, 우신운수와 공동 배차 |
3. 2. 노선 변경 및 통합
2009년 6월 20일 삼성여객 차고지가 보광동에서 염곡동으로 이전하면서 노선이 통합 및 변경되었다. 기존 0013번과 0211번은 421번(염곡동 - 옥수동)으로, 0014번과 0015번은 405번(염곡동 - 서빙고역)으로 통합되었다. 0018번의 나머지 구간을 대체하는 효창운동장(삼성여객 효창동영업소) - 한남역 구간을 운행하였다.[6]2013년 3월 19일 노상 주차 등으로 인한 민원으로 405번과 0018번이 통합되어 405A번, 405B번으로 재편되었다. 2013년 9월 26일 405A번과 405B번은 각각 405번, 400번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4월 18일 두 노선의 순환이 폐지되었다.
4. 이전 보유 노선
삼성여객은 과거 간선버스와 지선버스를 운행하였다. 간선버스 노선으로는 옛 405번, 405A(405)번, 405B(400)번이 있었고, 지선버스 노선으로는 0013번(구 81번), 0014번(구 79-1번), 0015번, 0018번, 0211번(구 81-1번), 0213번 등이 있었으나, 이 노선들은 현재 모두 운행하지 않는다.[1][2][3][4][5][6]
4. 1. 간선버스
- 옛 405번: 염곡동 - 양재역 - 서초역 - 보광동 - 이태원역 - 남산순환로 - 광화문(효창동방향) - 종각역(효창동방향) - 서울역 - 후암동 - 효창동 (2009-06-20~2013-03-19, 0018번과 통합되어 405A, 405B번으로 재편되었다.)[1]
- 405A(405)번: 염곡동 - 양재역 - 서초역 - 서빙고역→ 보광동→ 이태원역→ 남산순환로→ 광화문→ 종각역→ 서울역 → 후암동→ 효창공원→ 용산역→ 서빙고역→ 보광동→ 이태원역→ 한남동→ 강남성모병원 (이후 역순) (2013-03-19~2013-09-26, 405번으로 번호 변경)[1]
- 405B(400)번: 염곡동 - 양재역 - 서초역 - 서빙고역→ 보광동→ 이태원역→ 한남동→ 서빙고역→ 용산역→ 효창공원→ 후암동→ 서울역→ 남산순환로→ 이태원역→ 보광동→ 강남성모병원 (이후 역순) (2013-03-19~2013-09-26, 400번으로 번호 변경)[1]
4. 2. 지선버스
- 0013번 (구 81번): 2009년 6월 20일 지선버스 0211번과 함께 간선버스 421번으로 노선 통합, 형간전환 및 노선 연장.[1]
- 0014번 (구 79-1번): 2009년 6월 20일 지선버스 0015번과 함께 간선버스 405번으로 노선 통합, 형간전환 및 노선 연장.[2]
- 0015번 (신설노선): 2009년 6월 20일 지선버스 0014번과 함께 간선버스 405번으로 노선 통합, 형간전환 및 노선 연장.[3]
- 0018번 (신설노선): 효창공원 - 용산역 - 서빙고역 - 보광동 - 이태원 - 한남동(2013년 3월 19일 간선버스 405번과 통합하면서 간선버스 405A번, 405B번으로 재편되었고, 2013년 9월 26일에 405번, 400번으로 바뀌었다.) <동아운수>와 공동배차[4]
- 0211번 (구 81-1번): 2009년 6월 20일 지선버스 0013번과 함께 간선버스 421번으로 노선 통합, 형간전환 및 노선 연장.[5]
- 0213번: 2011년 2월 8일 지선버스 2225번과 함께 지선버스 2016번으로 노선 통합[6]
참조
[1]
웹사이트
삼성여객 기업정보
http://www.korchambi[...]
2017-12-25
[2]
문서
좌석버스 46번은 2001년 1월에, 도시형버스 78-3번은 2004년 7월 시내버스 개편과 함께 폐선되었다.
[3]
문서
이미 예전부터 염곡동 차고지가 있었고 구 78-3번, 46번과 함께 보광동 노선의 상당수 차량들이 주박했으나 2004년 7월 이후로는 염곡동 차고지에서 가깝게 운행하는 노선이 없었다. 염곡동차고지는 추가 주박 및 가스 충전용으로만 이용되었다. 보광동 차고지는 현재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4]
뉴스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5]
문서
내곡동 방면 운행시에는 회현역을 경유하지 않고, 명동 - 소공동 - 숭례문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순서로 운행한다.
[6]
웹사이트
이 페이지를 참조
http://www2.seoul.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